바람따라 떠도는 인생길233 서해랑길 ....52코스 역방향 ;새창이다리~만경낙조전망대~망해사~심포항 19.02km 7시간(휴식, 점심시간 포함) 2024년 2월 17일 토요일 ▼서해랑길 52코스(18.4km) 이번 서해랑길도 많은 장애물들이 발목을 잡았으나친구부부와 의기투합하여 가까스로 함께 걷는다.한 달에 한번 어려운 발걸음을 하게 되니 갈수록서해랑길을 갈망하며 애지중지 하게 되는것 같다. 서해랑길 52코스 역방향 시작점밤새 서리가 내려 데크가 새하얗고 미끄럽다. 새창이다리일제 강점기에 김제의 넓은 평야에서 생산되는 맛좋은 쌀을 군산항으로 실어나르기 위해 일본이 서둘러 놓은 다리 이다.(구) 만경교인 새창이다리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시멘트 다리라 붕괴위험이 있어 사람들만 걸어서 건널 수 있다. 전망대에서 바라본 조망 기온이 썰렁하여 차 안에서 준비해온 도시락을 먹고주변을 둘러보며 새해랑길 트레킹을 시작한다. 전기줄에 까맣게 다닥다닥 앉아 있는.. 2024. 2. 21. 서해랑길 ....53코스 역방향 ; 와당마을 버스정류장~군산호수~새창이다리 19.6km 5시간 2024년 1월 21일 일요일 ▼서해랑길 53코스(19.6km) 심야전기로 뜨끈뜨근해진 잠자리에서 일어나니 감기기운도 피로감도 느껴지지 않아 한걱정 덜었다. 다행히 날씨도 맑아져서 오늘은 서해랑길을 즐기면서 맘 편히 걸을 수 있을 것 같다. 외당마을 버스정류장에서 서해랑길 53코스를 시작한다. 서해랑길 53코스를 역방향으로 걸어야 하니 군청색 화살표를 따라 직진한다. 비에 씻기어 갔는지 모처럼 미세먼지가 없어서 먼 곳까지 시야가 터진다. 두번째 암거를 지나 농로로 이어지는 서해랑길 구름이 낮게 드리워진 하늘이 환상적이다! 군산시 옥산면 당북리 농로 새털구름도 보이고. 점차 구름이 걷치고 드러난 드높은 파란하늘~ 역방향으로 진행하다보니 갈림길에 있어야 할 이정표나 리본이 보이지 않아 애를 먹는다. 이곳에서.. 2024. 1. 25. 서해랑길.... 54코스 역방향; 진포해양테마공원~월명공원~은파호수~외당마을 버스정류장 11.6km 3시간 30분 2024년 1월 20일 토요일 ▼서해랑길 54코스(11.6km) 게으른것도 바쁜것도 아닌데 어쩌다보면 서해랑길 다녀온지가 한 달을 훌쩍 넘기 일쑤다. 이번에도 2개월이 다 되어가는 시점에서 겨우 시간을 내어 서해랑길을 나선다. 햇수로 따지자면 작년에 갔다오고 나서 올해 처음가는 것이니 넘 오랫만이다. 군산 진포해양테마공원 서해랑길 54코스 역방향 시작점 어젯밤에 서해랑길 갈 준비를 마치고 늦게 잠자리에 들었는데 잠이 안 와서 뒤척거렸다. 그런데 새벽 1시 30분에 가까이에 살고 있는 아들에게서 전화가 와 깜짝 놀라 받아 보았다. 초저녁에 영상통화 할 때는 별탈이 없었던 며느리가 갑자기 토사곽란을 일으켜 기진맥진해 있다한다. 7개월 된 쌍둥이가 있어서 어찌 할 바를 모르고 있는것 같아 남편을 깨워 달려가서.. 2024. 1. 23. 서해랑길 ....55코스 역방향;장항도선장~금강배수갑문교~진포대첩기념탑~진포해양테마공원 14.9km 2023년 12월 3일 일요일 ▼서해랑길 55코스(14.9km) 오전에 얼마 걷지 않은것 같은데 몸은 묵직하고 뻐근하다. 내몸이 이러는데 친구는 오직할까... 하지만 피곤한 내색을 않고 당연하게 55코스를 이어 걷고자 몸을 추수린다. 도선장 입구 도선공원에서 서해랑길 역방향 55코스를 시작한다. 여기도 가볼만한 곳이 많구만! 날씨도 좋구 경치도 조쿠나~~ 금강하구 건너로 군산이 보인다. 예뻐서 한컷~^^ 평화공원 번성했던 상가가 지금은 쇠락하고 있는 듯하다. 강건너 군산 구경 금강하구둑 금강하구둑은 전라북도 군산시와 충청남도 서천군 사이에 놓여있는 둑으로, 전라북도와 충청남도 지역의 용수 공급과 홍수 통제을 목적으로 건립하여 1990년에 완공되었다. 2007년 철도 교통로로서 군산선과 장항선이 하굿둑을 .. 2023. 12. 12. 서해랑길.... 56코스 역방향; 송석리 노인회관~매바위공원~장항송림살림욕장~장항도선착장입구 14.2km 2023년 12월 2일 토요일 오후 ▼서해랑길 56코스(14.2km) 57코스와 56코스 구간 거리가 짧아 하루에 두 코스를 걸어도 될 것 같다. 요즘은 해가 짧아 일찍 어두워지니 우린 오전에 걸은 57코스에 이어 56코스를 약 5km 정도 더 걷기로 한다. 그래서 1박 2일 동안 약 23km 씩 걸어 55코스까지 3개 코스를 마칠 예정이다. 송석리 노인회관 앞에서 서해랑길 56코스역방향 트레킹 시작~ 송석리노인회관 농로를 따라 송석1리 마을 방향으로 진행한다. 흐리던 날씨가 오후 들어 맑아지면서 파란하늘이 나타나 기분이 업 된다. 오전에 이어 오후에도 냉이캐기 삼매경~ 여름에는 풀속에 묻혀 존재감이 없던 냉이가 가을이 되니 누렇게 마른 풀속에서 독야청청하다. 봄에 먹어야 맛있을 줄 알았던 냉이가 언제 .. 2023. 12. 10. 서해랑길 ....57코스 역방향; 선도리 갯벌체험장~비인해변~다사항~송석리 와석노인회관 15.9km 4시간 20분 2023년 12월 2일 토요일 ▼서해랑길 57코스(15.9km) 10월 중순부터 주말마다 눈코뜰새 없이 바쁜 나날의 계속이다. 1박 2일 동창 야유회와 시부모님 제사, 1박 2일 서해랑길 트레킹, 친구 딸 결혼, 용봉산 산행, 3박 4일 장가계 가족여행, 김장, 1박2일 친정식구 모임, 큰 딸네 이사짐 정리, 그리고 이번주 1박 2일 서해랑길 트래킹에 이어 12월 말까지 평일 저녁시간에도 친목모임 등 일정표에 선약이 빼곡하다. 올 한해도 이렇게 바쁘게 지나가고 또 다른 새해가 다가온다. 건강이 허락하여 바쁜 일정을 소화낼수 있음에 감사하며 날 불러 주고 찾아 주는 이가 있어 기쁜 맘으로 달려간다. 서해랑길 57코스 역방향 시작점 선도리 갯벌체험장 아침이라 바닷바람이 제법 차갑게 느껴지는데 작업하시는 분들.. 2023. 12. 9. 장가계 가족여행....마지막날; 사석화 박물관~장가계~연태 공항~집으로 2023년 11월 20일 월요일 아침을 먹고 느굿하게 짐정리를 하여 호텔을 나온다. 오늘 일정은 사석화 박물관 관람뿐이고 점심식사 후에 공항으로 이동한다. 여행을 다녀보면 3박 4일이 짧은둣 하지만 슬슬 피곤해지고 의욕이 떨어져서 적당한것 같다. 서석화 박물관 색색의 모래와 돌가루 세계적인 화가 이군성이 모래와 돌가루 등을 이용하여 만든 사석화 작품을 전시한 곳이다. 자연의 재료로만 만들어 낸 작물의 색체와 입체감이 독특하고 아름답다. 제일 욕심이 나는 두 작품~ 점심으로 모처럼 현지식 훠궈를 먹는데 넘 맛있어서 다들 좋아한다. 중국에서 먹었던 한식과 현지식, 간식거리 등이 모두 입맛이 잘 맞다. 출국 수속 후 탑승시간을 기다리며.... 그림 같은 천문산을 다시 보니 반갑다^^ 기내식 연태 공항에서 환승.. 2023. 12. 3. 장가계 가족여행 ....셋째날;황석채 케이블카~십리화랑~천자산~전신마사지~BBQ푸드포장마차 2023년 11월 19일 일요일 어제, 우리팀 일행중 한분이 배탈이 나서 쫄쫄 굶고 천문산에서 고생만 하다가 오후에는 숙소로 들어갔었다. 비싼 돈 주고 멀리까지 와서 구경도 못하고 괴로워하는 모습이 짠하고 그나마 오후엔 함께 하지 못해 아쉬웠다. 오늘 아침에는 다행이 몸이 회복된 모습으로 친구들과 정답게 어울리니 반갑고 다행스럽기 그지 없다. 황석채 무릉원 국가 산림보호구에 자리잡고 있는 관광지다. 앞, 뒤로 커다란 암봉이 삐죽삐죽 솟아있는 모습이 장관이다. 케이블카를 타고 정상에 오른다. 원숭이들이 많다더니 초입에서 부터 우릴 반겨 줄 줄이야~^^ 대전 아지매가 원숭이에게 줄 아몬드를 가져오셔서 원숭이들과 특별한 만남을 갖는다. 전망대에 올라 바라본 전경 주머니에서 아몬드를 꺼내주었더니 다 집어 먹고 .. 2023. 12. 1. 장가계 가족여행 ....둘째날 ; 천문산 ~천문산사~귀곡잔도~천문산서선코스~동선코스~보봉호수~황룡동굴 2023년 11월 18일 금요일 장가계의 랜드마크인 천문산에 가기 위해 아침 일찍 조식을 먹고 리무진에 올라 시내에서 시작되는 케이블카를 타러 간다. 가이드가 일정을 바꾼 덕분에 사람들이 없는 이른 시간에 기다리지 않고 케이블카에 오른다. 세계에서 가장 긴 케이블카(7455m)를 타고 해발 1518.6m의 험준한 천문산 정상에 편하게 오르며 조망을 즐긴다. 6명씩 태운 케이블카가 즐지어 오르내리는 장면과 깎아지른 절벽, 아슬아슬한 비탈길이 한눈에 들어온다. 정상에 오른 줄 알았는데 케이블카 중간 탑승장을 통과하여 아찔하게 드높은 암벽을 끝없이 오른다. 엄청난 대륙의 스케일에 압도당하지 않을수가 없구만!! 편도만 30분이 소요되는 케이블카를 원없이 타보고 산정상에서 내렸다. 스릴 만점의 유리잔도 걷기 압권.. 2023. 11. 27. 이전 1 2 3 4 5 6 7 ··· 26 다음